
기자회견하는 피납 제2남진호 선원들
정부가 2일 공개한 남북회담사료에는 6·25전쟁 후 북한의 우리 어선 납북이 얼마나 빈번했는지 알 수 있는 자료도 수록됐다.
남북회담사료집에 실린 어선 납북 및 송환 통계 자료를 보면 북한은 6·25전쟁 후부터 1987년 5월까지 우리 어선 459척을 납북했다. 끌려간 승선원은 3천651명으로 집계됐다.
이 가운데 427척·3천232명은 송환됐으나 32척 419명은 돌아오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. 미송환자 중 침몰 등에 따른 사망·실종자를 제외하고 북한에 억류된 인원은 총 27건 403명으로 사료집에 기재됐다.
1987년 이후에도 태양호(1989.1)와 명성2호(1989.5)가 1980년대 납북됐다. 1980년대까지 총 461척의 어선이 납북된 것이다.
통일부에 따르면 어선 납북에 따른 미귀환자는 작년 말 기준으로 457명이다.
북한의 남한 어선 납북은 6·25전쟁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집중적으로 벌어졌다.
가장 빈번했던 때는 1968년으로 총 90척이 납북돼 756명이 끌려갔다.
1980년대 들어선 빈도가 줄긴 했지만 제2남진호(1980.9), 제2태창호(1980.12), 제1공영호(1981.6), 제5마산호(1982.7), 제12광남호 및 제2동주호(1985.2), 제2계영호(1985.10), 제27동진호(1987.1) 등 납북 사례는 계속 이어졌다.
북한은 대체로 납북 몇 달 뒤 관영매체를 통해 이를 공개했다.
북한은 해당 어선이 착오나 조업 욕심으로 북쪽 해역을 침범해 단속했다고 주장하면서 인도주의 차원에서 송환한다고 생색을 냈다.
하지만 상당수 어선은 공해상에서 조업 중 끌려갔다. 또 남측에 아무런 통보도 없이 몇달씩 붙잡아두는 경우가 많아 인도주의를 운운하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졌다.
기사 더보기
☞ https://www.yna.co.kr/view/AKR20240702009200504?input=1195m